전체 글8 복막투석이란? 복막투석 투석액을 복강 내에 주입하고 복막의 반투막 기능을 이용하는 치료법이다. 복가을 둘러싸고 있는 복막에는 작은 모세혈관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반투막으로 이용할 수 있따. 복막으로는 1,300 돌턴 이상의 큰 용질, 심지어 단백질까지도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이 혈액투석과의 차이점이다. 복막투석은 15세 이하의 성장기 어린이, 고령 환자, 당뇨 환자, 심혈관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 또한 지역적으로 혈액투석 병원이 멀리 있는 경우에 선택될수 있다. (1)복막투석의 원리와 종류 복막투석의 원리는 확산과 삼투이다. 확산의 원리에 의해 노폐물과 독성 물질이 제거되고 삼투작용에 의해 체내 과잉수분이 제거된다. 투석액 속에 포도당을 첨가하여 혈액에서보다 삼투암을 높여줌으로써 혈중의 과다한 수분을 제거한다. 복.. 2021. 12. 31. 혈액투석 투석이란? 투석은 확산, 삼투, 초미세여과라는 3가지 원리에 의해 수분과 용질이 반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혈액 투석시에는 인공신장기에 있는 투석막을, 복막투석 시에는 복강을 둘러싼 복막을 반투막으로 이용한다. 확산은 반투막을 통해 입자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두 구간의 농도가 같아질 때까지 입자가 이동하는 것이다. 투석 시 확산에 의해 환자 체내의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 등의 노폐물과 전해질이 제거된다. 투석액에 포도당과 같은 물질을 집어 넣어서 환자 혀랙 내 입자 농도보다도 투석액의 입자농도가 더 높게 해서 수분이 혈액으로부터 투석액으로 옮겨가도록 한다. 1) 투석의 목적 ①혈액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등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 과잉 수분을 제거 ②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 2021. 12. 30. 방광염이란? 방광염(Cystitis)이란 방광염은 방광벽의 염증으로서 주로 상행성 세균 감염으로 일어난다. 방광염은 흔히 증상이 있는 요로감염을 의미하며, 무균성 혹은 간질성 방광염은 감염이 없는 방광점막의 염증이다. 요로감염은 치료후에도 재발이 잘 되며, 약 20%에서 빈번한 재발을 발생한다. 방광염은 여성에서 발생률이 높은데 이는 여성의 요도가 짧아 방광까지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이다. 외요도의 위치도 질과 항문에 가까워 이들의 분비물에 쉽게 오염된다. 지로가 요도의 E-Coli 군집은 여성에서 재발성 방광염의 원인이다. 여성은 회음부를 닦을때는 앞에서부터 뒤로닦아줌으로써 방광염을 예방하도록 한다. 방광염 재발이 잦은 여성은 통목욕보다는 샤워를 권장한다. 왜냐하면 통목욕은 요도를 자극하고 오염시키기 때문이다. 거품.. 2021. 12. 29. 신우신염이란? 신우신염(pyelonephritis)이란? 신우와 신배를 포함하는 상부 요로감염이다. 급성과 만성의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숙주의 저항력이 감소되어 발생하는 원발성 질환이지만 다른 곳의 감염과정이 파급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흔히 하부요로에서 시작되며 신장으로 상행감염이 된다. 급성 신우신염은 경과가 짧지만, 감염의 재발이 빈번하여 20% 정도는 치료 후 2주 이내에 재발한다. 만성 신우신염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급성기에 충분히 치료를 받아야 한다. 1)원인 방광이 주된 감염원이다. 급성 신우신염은 요도의 세균오염이나 도뇨 혹은 방광경 검사가 원인이 된다. 만성 신우신염은 요역류나 만성적인 폐색이 있을때 발생하며 급성 감염이 재발하여 서서히 만성으로 진행되나 급성 신우신염의 병력이 없는 경우도 있다. E.. 2021. 12. 29. 이전 1 2 다음 반응형